반응형 여러가지 과학이야기63 빛의 성질로 알아보는 여러가지 바다의 색(바닷물의 색이 파란 이유) 파란색 바다, 푸른 바다, 가끔은 검푸른 바다, 누런 바다 등 바닷물은 여러 가지 색으로 보입니다. 직접 바닷물을 컵으로 떠 보면 투명한 색입니다. 그러면 왜 바닷물은 주로 파랗게 보이는 걸까요? 그리고 가끔 다른 색으로 보이는 바다는 어떤 이유 때문일까요? 오늘은 바닷물의 색을 좌우하는 빛의 성질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먼저 우리가 본다는 것은 어떤 의미가 있을까요? 빛이 하나도 없는 방에 있게 되면 아무것도 보이지 않습니다. 우리가 본다는 것은 빛이 존재할 때만 가능한 것이지요. 우리의 빛의 근원인 태양광은 눈으로는 백색으로 보이지만, 빨주노초파남보 일곱 가지 색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각각의 색의 빛은 파장이 다 다릅니다. 이 개념을 먼저 잘 기억해 봅시다. 빛의 산란 빛의 산란 빛.. 2024. 11. 9. 서리는 무엇일까요? 승화, 물질의 상태 변화 2024년 첫서리가 관측되었다는 오늘 뉴스에 많이 등장하였습니다. 서리가 처음 내린 날을 뉴스에서 앞다투어 다룰 만큼 우리의 일상생활에 밀접한 관련이 있을 것 같은데요, 첫서리가 내린 다는 것에 대한 의미가 무엇인지 알아보고 서리란 무엇인지 알아보며, 과학적으로 관련된 자연현상들을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목차 서리란 무엇인가?공기중의 수증기가 지면이나 지상에 있는 물체의 표면이나 설면 (雪面) 등에 승화하여 생기는 여러 가지 얼음 결정을 서리라고 합니다. ✅여기서 승화란? 어떤 물질이 고체에서 액체를 거쳐서 기체로 변화를 하거나, 기체에서 액체를 거쳐서 고체로 변화를 하는 것이 아니라, 중간 액체단계를 뛰어넘어 고체에서 기체로, 또는 기체에서 고체로 변화하게 되는 것을 승화 라고 합니다. 서리는 이슬.. 2024. 11. 8. 반달 이야기: 오른쪽 반달? 왼쪽 반달? 낮에 뜨는 반달? 낮에 뜨는 반달은 하얀 반달은♬ 반달 노래를 아시나요? 보통 우리는 달은 해가 지고 난 후에 밤하늘을 비춰주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 노랫말에서 처럼 낮에도 반달을 볼 수 있는 경우가 있는데요, 낮에 반달을 볼 수 있는 이유와 저녁에 반달을 볼 수 있는 이유에 대해 알아보며 달 주기에서 오른쪽 반달, 왼쪽 반달과 같은 두반달 단계의 차이점을 비교해 보겠습니다. 오늘은 반달의 종류와 달이 뜨는 시간에 대해서도 함께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반달이란 무엇입니까?우리가 흔히 이야기하는 반달은 동그란 달을 반 잘라놓은 듯한 반쪽짜리 달을 말합니다. 달의 모양 변화중 반달에 속하는 단계는 두 단계가 있습니다. 이 단계에서 달 표면의 절반은 태양에 의해 빛나고 나머지 절반은 그림자에 가려져 "반쯤 찬".. 2024. 11. 6. 독도의 역사, 독도 이야기, 독도는 우리 땅~바뀐 가사 대한민국은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반도 국가입니다. 그래서 많은 섬들이 있습니다. 그렇다면 우리나라 영토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섬은 어떤 섬일까요? 그건 바로 독도입니다. 동해바다 끝에서 우리나라를 지키고 있습니다.매년 10월 25일은 독도의 날 입니다. 오늘은 역사 속에서 독도이야기를 알아보고, 왜 독도가 우리 땅일 수밖에 없는지 역사적인 증거도 함께 이야기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독도의 날?독도의 날은 왜 10월 25일 일까요? 조선 후기 고종왕이 대한제국으로 우리나라의 이름을 바꾸면서(일제 강점기 바로 직전의 모습이죠) 1900년 10월 25일 독도를 울릉도의 부속 섬으로 지정한 날이 바로 10월 25일이라고 합니다. 그날을 기념하여 독도의 날을 10월 25일로 정하게 된 것입니다. 이 이야기를 하기.. 2024. 11. 5. 단백질의 구조를 예측하라! 2024 노벨 화학상 몇 주 전 한강작가님의 노벨문학상 수상이 발표되었습니다. 아시아계 여성작가로는 처음 있는 일이었고, 한강 작가님의 작품 중에는 우리의 아픈 역사와 연관이 있기에 더더욱 의미가 있는 일이었습니다. 이러한 노벨문학상 발표가 있기 하루 전 노벨화학상 수상자가 발표가 되었는데요. 올해의 노벨화학상은 좀 독특한 이력을 만들었습니다. 이번 시간엔 2024년 노벨 화학상을 이야기해보겠습니다. 과연 어떤 내용일까요? 끝까지 읽어보세요. 2024 노벨 화학상2024년 노벨 화학상 수상자는 총 3명입니다. 생화학자인 데이비드 베이커, 그리고 영국 구글 딥마인드 CEO인 데미스 허사비스와 구글 딥마인드 수석 연구원인 존 M.점퍼가 노벨 화학상을 수상하게 되었습니다. 이들은 효소나 호르몬과 같은 단백질의 구조를 예측하거나 새.. 2024. 11. 2. 초승달, 오늘 밤 서쪽 하늘에서 만나요! 대한민국은 북반구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지구의 자전으로 인해 태양이나 다른 행성, 별 등 하늘에서 볼 수 있는 것들이 동쪽에서 떠올라 남쪽을 지나 서쪽으로 지는 것처럼 보입니다. 사실은 그 모든 것들은 대부분 가만히 있고, 우리 지구가 서에서 동으로 돌고 있기 때문인걸 자꾸 잊게 되는 것 같습니다. 밤하늘에 보이는 달의 변화는 늘 신비롭습니다. 지난 시간에는 달의 모양 변화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앞으로 달의 모양에 따른 이름과 그 유래 그리고 재미있는 여러 가지 이야기도 함께 다뤄보겠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오른쪽 눈썹 - 초승달'에 대해서 좀더 구체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달의 모양 변화 다시보기◀◁1. 초승달 이름의 유래기본적으로 달은 음력에 따라 구분 지어집니다. 초승달은 달이 사라졌다가 처음으.. 2024. 11. 2. 이전 1 2 3 4 5 ··· 11 다음